교통사고 부상 등급표, 보상액이 달라지는 기준을 제대로 알아봅니다

교통사고 진단서를 받았는데, 거기에 적힌 상병명이나 진단 일수만 봐서는 보상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감이 안 오시죠?
‘이게 몇 급이지?’, ‘위로금은 받을 수 있나?’처럼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의 구조부터 보상 기준, 실제 사례까지 2025년 기준으로 명확하게 안내드립니다.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란?

교통사고로 다쳤다고 해서 모두 동일한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사고의 부상 정도는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에 따라 1급부터 14급까지로 분류되며, 이 등급은 책임보험에서 지급받을 수 있는 보상 한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또한 운전자보험에서는 자동차사고 부상 등급표를 바탕으로 정액 보상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보험금 수령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 일부
자동차사고 부상 등급표 중 일부

부상 등급 구간별 특징 요약

교통사고 부상 등급은 1급부터 14급까지 나뉘며, 상해의 중증도와 치료 방식에 따라 구분됩니다.

각 등급은 보험사의 책임보험 보상 한도와 위로금 협상에 영향을 주는 기준이 됩니다.

구간분류주요 특징
1~3급중상해생명에 위협이 있거나 후유장해 가능성이 높은 상해.
수술 및 장기 입원 필요. 고액 보상 대상.
4~10급중상수술 및 입원 치료를 요하는 부상.
인대 파열, 골절, 관절 탈구 등 포함.
11~14급경상비교적 경미한 상해.
염좌, 타박상, 단순 찢김상처 등. 2~3주 진단서가 일반적.

주요 등급별 부상 사례와 보상 기준

전체 1~14급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상해 예시와 함께 보상 한도액을 정리했습니다.

등급대표 상해 사례보상한도 (2025년 기준)
1급사지마비, 뇌손상 지속3,000만 원
2급장기 절제, 불완전 마비, 폐손상 수술1,500만 원
3급십자인대 파열, 재건수술, 단안 적출1,200만 원
4급각막이식, 인공호흡기 사용, 심한 골절1,000만 원
5급인대 완전 파열, 추간판 탈출증, 골절성 탈구900만 원
6급회전근개 파열 수술, 기흉/혈흉 삽관, 인대 재건술700만 원
7급쇄골 골절, 손목뼈 탈구, 손허리관절 골절500만 원
8급갈비뼈 골절 3개 이상, 척추 염좌, 발허리뼈 골절300만 원
9급손가락 골절 수술, 고환 손상 수술, 발가락 탈구240만 원
10급3cm 이상 찢김상처, 회전근개 파열(비수술)200만 원
11급코뼈 골절(비수술), 뇌진탕, 손가락 염좌160만 원
12급염좌, 찢김상처, 척추 염좌120만 원
13급결막 찢김, 고막 파열, 흉부 타박상80만 원
14급단순 타박, 경미한 관절 염좌50만 원
자동차사고 부상 등급표 요약

※ 위 표는 법령에 따른 보상한도 기준만을 제시한 것이며, 실제 합의금은 피해자와 가해자 측 보험사 간의 협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진단명, 치료 기간, 후유증 여부 등에 따라 실무에서는 보상한도 내에서 다양한 범위의 합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진단명 기준으로 부상 등급 알아보기

사고 이후 진단을 받았지만, 이게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 기준으로 몇 급에 해당하는지 감이 안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는 자주 묻는 진단명에 따라 예측 가능한 부상등급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 - 진단에 따른 부상 등급
2주 진단은 몇 급?

일반적으로 12~14급. 염좌, 타박상 등이 이에 해당하며 보상은 50~120만 원 내외에서 협의됩니다.

염좌는 보상 대상인가요?

네. 14급으로 분류되며, 통원 치료 기록이 있는 경우 실무에서 보상 대상이 됩니다.

단순 골절은?

수술 없이 치료하는 경우 10~12급, 수술을 동반하면 8~9급까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십자인대 파열은 몇 급?

수술을 받으면 6급, 받지 않으면 8급 이하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치료 방식이 핵심입니다.

코뼈 골절은요?

수술을 받지 않으면 11급, 수술 시 9급까지 인정됩니다. 기능 장애 여부가 판단 기준입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수술 여부에 따라 6급(수술) 또는 10급 이하(비수술)로 분류되며, 어깨 기능 제한이 남으면 장해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척추 염좌는 몇 급인가요?

보통 12급에 해당하지만, 사고 전 병력이나 영상검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상등급과 직접 관련 있는 보상은 무엇인가요?

부상등급은 주로 다음 두 가지 보상 항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대인배상(책임보험): 부상등급표에 따라 법정 보상한도가 정해지며, 대인배상Ⅰ(책임보험)의 지급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실제 지급 금액은 진단일수, 사고 경위, 향후치료비(자세히)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협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한도는 ‘최대 지급 가능액’입니다.
  2. 운전자보험 위로금: 운전자 본인이 가해자인 사고에서도, 가입한 운전자보험 특약에 따라 부상등급이 14급 이상이면 정액 보상이 가능합니다. 보험사와 특약 조건에 따라 지급 기준과 금액은 달라지며, 대체로 진단서와 진료비 영수증만으로 청구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장해등급은 부상등급과는 별개의 기준입니다.

부상등급은 사고 직후의 상해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장해등급은 일정 기간 치료 이후에도 남는 후유장해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둘은 적용 시점과 목적이 다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후유장애의 구분은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별표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보험 위로금 수령 사례

운전자보험에 가입한 경우, 본인이 가해자인 교통사고에서도 일정 등급 이상의 부상 시 위로금을 정액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구성한 내용입니다.

“회사 근처 골목길에서 접촉사고가 났고, 병원에서 2주 진단을 받은 후 경추 염좌(14급)로 분류됐습니다. 제가 가해자였지만 운전자보험에서 부상등급 14급 이상 정액 보상 특약이 있어, 보험사에 청구 후 20만 원 위로금을 지급받았습니다. 청구는 병원 진단서와 진료비 영수증만으로 간단하게 진행됐습니다.”

운전자보험 위로금은 대부분 14급 이상 등급이 적용되면 지급되며, 가입 상품과 특약에 따라 금액이나 청구 서류 요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약관을 확인한 후 청구 절차를 진행하세요.

요약 정리

  •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는 1~14급으로 분류되며, 보상액 기준이 명확히 다릅니다.
  • 경상(11~14급)은 2~3주 진단서, 중상 이상은 수술 여부에 따라 1~10급 적용됩니다.
  • 합의금 협상에서는 진단서의 정확성과 부상등급표 기준 이해가 핵심입니다.
  • 운전자보험 보상 여부도 교통사고 부상 등급표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 장해등급표와는 별도 기준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