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전 무상수거 품목 정리|가전제품 무료수거 신청방법까지 한눈에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 알고 계셨나요?
가전제품을 버리려면 수수료도 들고, 무거운 가전은 옮기기도 쉽지 않죠.
하지만 무상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사님이 직접 방문해 냉장고, TV, 선풍기까지 무료로 수거해갑니다.
신청 가능한 품목과 조건,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폐가전, 돈 안 들이고 버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폐가전 처리는 대부분 비용이 듭니다.

보통은 대형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주민센터에 유상 수거를 요청해야 하죠.

하지만 오늘 소개할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지정 품목에 한해 수수료 없이 기사님이 방문해 수거해줍니다.

  •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도 조건만 맞으면 무상 수거
  • 집까지 와서 직접 가져가기 때문에 번거로움도 해결

이 서비스는 환경부와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에서 운영하는 공식 제도이니 안심하고 신청하셔도 됩니다.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

폐가전 무상수거는 모든 가전제품이 해당되는 건 아닙니다.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은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 유형마다 수거 조건이 다릅니다.

  • 단일 수거 품목 : 대형 가전 1개만 있어도 기사님이 방문
  • 세트 수거 품목 : 본체와 모니터 등 세트일 때만 수거 가능
  • 다량 수거 품목 : 소형 가전은 5개 이상 모아서 신청해야 수거 가능

폐가전 무상수거 대상 품목 요약

어떤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이 해당되는지 애매하다면, 신청 전에 아래 표를 확인해 보세요.

구분품목
단일수거 품목1. 냉장고(가정용, 업소용, 김치냉장고 등)
2. 세탁기(일반, 드럼, 탈수기 등)
3. 에어컨(실내기, 실외기, 일체형 등)
4. TV
5. 일반(전기오븐, 러닝머신, 식기세척기, 복사기, 정수기, 전자레인지, 제습기 등)
세트품목1. 오디오 세트
2. 데스크탑PC 세트(본체+모니터)
다량 배출 품목1. 가습기
2. 스캐너
3. 음식물처리기
4. 밥솥
5. 전기히터
6. 청소기
7. 전기비데
8. 헤어드라이어
9. 믹서기
10. 선풍기
11. 전기안마기(안마의자는 제외)
12. 토스트기
13. 모니터
14. 노트북
15. 컴퓨터 본체
16. 휴대폰
17. 프린터 등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 표

오래된 스마트폰이나 아이폰도 무상수거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상태에 따라 보상 판매가 더 유리할 수도 있으니 오래된 아이폰 폐기 방법, 돈되는 방법은?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

수거 조건은 이렇게 다릅니다

  1. 단일 수거 품목
    • 품목 1개만 있어도 기사님이 방문 수거
    • 대표 품목 : 냉장고(김치냉장고 포함), 세탁기, 에어컨, TV 등
    • 대부분 대형가전이며 수거 기준이 가장 간단
  2. 세트 수거 품목
    • 반드시 세트로 구성되어 있어야 수거 가능
    • 예: 오디오 본체만 있는 경우 수거 불가
    • 데스크탑은 본체 + 모니터가 함께 있어야 함
  3. 다량 수거 품목
    • 대표적인 소형가전은 5개 이상 모아야 수거 가능
    • 예: 밥솥, 헤어드라이기, 노트북, 전기비데 등
    • 5개 미만일 경우 단일 품목과 함께 배출하거나, 유상 수거 필요

참고로 폐가구는 무상수거 대상이 아니며,
폐가구 무료수거 방법 4가지를 따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주의하세요

  • 소형가전이 3~4개밖에 없다면 단일 수거 품목과 함께 신청하세요.
  • 세트품목은 ‘구성품 전부’가 있어야 수거가 가능합니다.
  • 무상수거 대상인지 애매하다면, 신청 시 ‘비고란’에 적어두면 좋습니다.

폐가전을 정리하고 새 가전을 구입했다면, 1등급 가전 환급 신청방법(2025 최신)을 통해 보조금 혜택도 챙겨보세요.

폐가전 무상수거 온라인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폐가전 무상수거를 신청하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접수할 수 있습니다.

아래 4단계를 차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 신청 사이트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배출예약시스템 바로가기

Step 1. 약관 동의

신청을 시작하면 먼저 약관 동의 화면이 나옵니다.

모든 항목은 필수 동의이므로 ‘전체 동의’ 체크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
약관 동의 화면 예시

Step 2. 신청서 작성

이름, 주소, 연락처 등 기본정보를 입력합니다.

수거 기사님이 방문할 주소를 정확히 기입해 주세요.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
신청서 입력 화면

배출 희망일자는 희망일자일 뿐, 반드시 지정한 날짜로 확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수거일은 하루 전 오후 6시에 확정됩니다.

Step 3. 품목 선택

앞서 소개한 무상수거 품목 중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소형가전은 반드시 5개 이상 선택해야 접수가 가능합니다.

가전제품 무료수거 신청방법
수거 품목 선택 화면

Step 4. 예약 정보 확인

입력한 정보와 선택한 품목을 최종 확인한 뒤 ‘신청하기’를 누르면 완료.

📌 수거 불가일: 일요일, 공휴일, 신정, 근로자의 날, 명절 연휴 등
📌 방문 기사님의 정보는 수거 전날 오후 6시 이후 안내됩니다.

폐가전 무상수거 콜센터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이 어렵거나, 스마트폰 사용이 불편하다면 콜센터를 통해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정보를 참고해 전화로 접수해 보세요.

📞 1599-0903 (콜센터 상담 가능)

운영시간

  • 평일: 오전 08시 ~ 오후 18시

📌 아래 날짜에는 전화 접수가 불가합니다.
신정(1월 1일), 근로자의 날(5월 1일), 명절 연휴, 주말, 공휴일

주의사항

  • 상담원 연결 시, 수거 주소와 품목을 정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 소형가전은 5개 이상일 경우에만 접수 가능하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 수거 가능한 품목인지 애매할 경우, 품목명을 미리 정리해두면 빠르게 상담이 가능합니다.

콜센터 신청이 적합한 경우

  •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
  • 빠르게 상담받고 싶은 분
  • 수거 품목이 확실하지 않아 전화로 확인하고 싶은 경우

무상수거를 신청하기 전, 이삿날을 고려해 미리 정리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포장이사 준비 꿀팁에서 효율적인 분리 정리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폐가전 무상수거 시 유의사항

무상수거를 신청하더라도, 현장에서 수거가 거절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아래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고, 사전에 준비해 주세요.

  • 철거되지 않은 가전은 수거하지 않습니다.
    예: 벽걸이 TV, 에어컨 등은 기사님이 철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신청 전 반드시 철거를 완료해 두어야 합니다.
  • 사다리차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가전제품이 좁은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없이 운반 불가능한 경우, 수거가 거절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거나 분해 조치가 필요합니다.
  • 집안 수거 시 반드시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부재 중인 경우 기사님이 출입할 수 없어 수거가 불가능합니다.
    수거 희망일에는 반드시 집에 대기해 주세요.
  • 단일 수거 품목 없이 소형가전만 신청할 경우,
    반드시 5종 이상이어야 수거가 가능합니다.
    (예: 밥솥 + 드라이기 + 프린터 + 노트북 + 선풍기 → 가능)
  • 품목 상태를 미리 기재하면 도움이 됩니다.
    수거 신청 시 메모란에 “작동 안 함”, “깨짐 있음” 등 상태를 적어두면 수거 가능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폐가전 무상수거 품목에 해당하더라도 불확실한 부분은 수거 전에 콜센터(1599-0903)로 문의하거나, 온라인 신청 시 메모란에 구체적으로 남겨 주세요.

공간을 새로 정리하거나 이사 후 도배까지 고려 중이라면, 도배 견적 내는 법을 참고해 미리 비용을 계산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